공무원 직렬 정보

2021 공무원 보수 급여 월급 봉급 수당 일반직 특정직 별정직 공무원 7급 8급 9급 1호봉 2호봉 3호봉 월급 명절 휴가비 보너스 추석 설 시간외 초근 수당 야근 직급보조 정액급식

공펀치 2021. 7. 30. 08:42

안녕하세요

 

공무원시험 한 방에 뿌시기

공펀치입니다^^

 

2021년 기준 공무원

봉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무원의 종류가 엄청 많아서

공무원을 구분하고 이번에 알아볼 공무원의

봉급을 확인해볼게요^^

 

헷갈리지 않기 위해 공무원보수규정에

나온 표현 그대로 구분하겠습니다^^

 

공무원 보수규정 별표1 공무원별 봉급표 구분표
구분 적용대상 공무원
별표 3 별표 3의2 및 별표 4부터 별표 6까지의 봉급표를 적용받는 공무원을 제외한 일반직공무원, 1등급부터 6등급까지의 외무공무원, 일반군무원, 일반직공무원의 계급에 준하여 임용하는 별정직공무원, 재외공무원(재외무관은 제외한다)
별표 3의2 전문경력관, 전문군무경력관
별표 4 교정ㆍ보호ㆍ검찰ㆍ마약수사ㆍ출입국관리ㆍ철도경찰직 공무원(4급 이상인 경우에는 교정ㆍ보호ㆍ검찰ㆍ마약수사ㆍ출입국관리ㆍ철도경찰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공무원), 감사원 소속 공무원 중 감사 업무에 종사하는 공무원, 대통령경호처 소속 공무원 중 경호 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공무원, 검찰청 소속 공무원 중 기술직공무원(4급 이상인 경우에는 기술 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공무원), 국가정보원 직원 중 1급부터 9급까지의 특정직 직원, 법원 소속 공무원 중 법원사무직ㆍ등기사무직ㆍ조사사무직ㆍ통역직 및 법원경위직 공무원, 헌법재판소 소속 공무원 중 헌법재판 지원 업무에 종사하는 법원사무직ㆍ행정직ㆍ법정경위직 공무원, 국회 소속 공무원 중 경위직공무원(경호 업무에 직접 종사하는 4급을 포함한다)
별표 5 연구직공무원, 국가정보원 전문관
별표 6 지도직공무원
별표 8 일반직 우정직군 공무원
별표 10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경찰대학생, 경찰간부 후보생, 소방간부 후보생, 전투경찰순경 및 의무소방원
별표 11 고등학교 이하의 각급 학교에 근무하는 교원, 장학관 및 교육연구관(교육부, 국사편찬위원회, 중앙교육연수원, 국립국제교육원,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국립특수교육원, 국립대학교에 근무하는 장학관 및 교육연구관은 제외한다), 교육장, 장학사 및 교육연구사
별표 12 별표 11의 봉급표를 적용받지 않는 교육공무원, 국립통일교육원ㆍ국립외교원ㆍ국방대학교ㆍ사법연수원ㆍ경찰대학ㆍ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과 그 밖의 공무원교육훈련기관의 교수ㆍ부교수ㆍ조교수 및 조교
별표 13 군인, 사관생도, 사관후보생, 입영 훈련 중인 학생군사교육단 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
별표 14 헌법재판소의 헌법연구관 및 헌법연구관보 

 

이번에 알아볼 봉급은 별표3의 공무원

 

일반직공무원, 1등급부터 6등급까지의 외무공무원

일반군무원, 일반직공무원의 계급에 준하여 임용하는 별정직공무원

재외공무원(재외무관은 제외한다)

 

위와 같이 급수 및 호봉별로

월봉급(급여)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9급으로 임용된 여자와

군미필인 남자의 경우

 

9급 1호봉으로 임용되어

1,659,500원을 기본 월봉급(급여)로

받게됩니다.

 

이 금액을 기준으로 명절수당, 정근수당

등을 지급 받게 됩니다.

 

군필의 경우 군복무기간에 따라

개월수가 인정이 되어,

 

2년을 복무하신 경우

3호봉으로 임용 되어

9급 3호봉 1,720,400원

기본 월 봉급으로 받게됩니다.

 

7급으로 임용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7급 1호봉 1,898,700원

7급 3호봉 2,077,000원

 

 


급수별로 세전 급여는?

 

6급에서 9급의 1호봉(기준)

급여(지급기준)으로 

계산해봤습니다.

 

시간외수당은 10시간 정액분을 계산하였고,

시간외근무를 하게 될 경우, 위 금액의 1/10이

시간외근무수당이므로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추가로, 성과상여금

기관별로 차이(보통, 연1회)가 있고,

 

정근수당 근무연수에 따라

차이(연2회 1월 및 7월)가 있기에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위 월 봉급(급여)는 세전 금액으로

소득세, 지방소득세,

건강보험료, 장기요양보험료

연금기여금 등을 공제받아

월 급여 실수령합니다.